한·영·일어

훈민정음

true2020 2010. 12. 9. 13:56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르 서로 사맛디 아니할쌔.

이런 젼차로 어린 백성이 니르고저 할 배 니셔도

마참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할놈이 하니라.

내 이를 어여삐 녀겨 새로 스믈 여덟자를 맹가노니,

사람마다 수비니겨 날로 쓰매 편안케 하고저 할 따라미니라.

 

우리 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잘 통하지 아니한다.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것을 가엾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不相流通.

故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予.

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易習 便於日用耳.

 

 

세종(世宗, 1397년 음력 4월 10일(양력 5월 7일) ~ 1450년 음력 2월 17일(양력 4월 8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왕이다. 성은 이(李), 휘는 도(裪), 자는 원정(元正)이다.

 

훈민정음과 한글

1420년 중앙 집권 체제를 운영하기 위해 정책 연구 기관으로 궁중 안에 집현전을 설치하여 그들을 일반 관리 이상으로 우대하였다.

1443년 조선에 고유 문자가 없음을 개탄한 세종은 한자를 모르는 민중들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훈민정음을 친히 창제하여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하였다. 훈민정음은 암클(여성들이 배우는 글), ‘언문(諺文)’, ‘언서(諺書)’, ‘반절(反切)’등으로 불리다가 20세기에 들어 주시경선생(1876. 12. 22 황해 봉산~1914. 7. 27 서울,호는 한힌샘)에 의해 한글로 정리되고 발전되어 오늘날까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자로 쓰이고 있다.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는 누구나 자신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할 수 있게 한, 그래서 그의 업적 중 가장 뛰어난 것으로 손꼽히는 일이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주시경(周時經)이 지은 것으로 ‘크다’, ‘바르다’, ‘하나’를 뜻하는 고유어‘한’에서 비롯되었다. 그 뜻은 큰 글 가운데 오직 하나뿐인 좋은 글, 온 겨레가 한결같이 써온 글, 글 가운데 바른 글(똑바른 가운데를 한가운데라 하듯이), 모난 데 없이 둥근 글(입 크기에 알맞게 찬 것을 한 입이라 하듯이)이란 여러 뜻을 한데 모은 것이라 하기도 한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국서(國書)’, ‘국문(國文)’이라고 불렀고 혹은 ‘조선글’로 부르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한국의 글이라는 보통 이름일 뿐이며, 고유명사로 한글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기 전에는 ‘가갸’, ‘정음’ 등으로 불렀다.

 

처음 한글(한글이라는 이름은 본디 문자의 이름)이라는 이름이 사용된 것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다. 다만 1913년 3월 23일 주시경이 ‘배달말글몯음(조선어문회, 朝鮮言文會)’를 ‘한글모’로 바꾼 바 있고, 같은 해 9월 최남선의 출판사 ‘신문관(新文館)’에서 창간한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의 끝에 가로글씨로 '한글풀이’라 한 것이 있고, 1914년 4월에 ‘조선어강습원(朝鮮語講習院)’이 ‘한글배곧’으로 이름을 바꾼 것 등으로 볼 때 1913년 무렵 주시경이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1927년에는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한글》이라는 잡지를 매달 발간하였다. 한글이라는 명칭이 일반화된 것은 1928년 11월 11일 조선어연구회에서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부른 때부터라고 한다.

 

현재 한글의 명칭을 남한(대한민국)에서는 한글로,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어자모’로 부르는데, 2001년 2월 중국 옌지에서 열린 ‘제5차 코리안 컴퓨터 처리 국제 학술 대회(ICCKL 2001)’에서는 남과 북, 해외 동포 학자들이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등록하기 위한 명칭으로 ‘정음(Jeongeum)’을 쓰기로 합의하였다.

'한·영·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식언- 관형사, 부사  (0) 2010.12.10
용언 - 동사,형용사  (0) 2010.12.10
체언 - 명사·대명사·수사   (0) 2010.12.10
한국어의 특징  (0) 2010.12.10
한국어 사용자수는 6600만 명. 세계 13위   (0) 2010.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