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유대교

유대인의 신앙교육

true2020 2016. 3. 7. 13:24

* 신앙 없이 유대인을 논한다는 것은 무의미하다. 

 

* 토라 중에 가장 중요한 구절 쉐마는 신명기 6장 4절이다.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이시다."

"들으라."는 히브리어로 '쉐마'다. "순종하라."는 뜻이다.

신명기 6장 4~9절은 유대인 신앙의 핵심이다.

 

* 유대인 부모는 자녀가 잠들기 전에 쉐마의 기도를 외우게 한다. 이것은 아이가 잠자다가 죽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렇게 기도하는 것은 아이의 영혼을 하나님에게 맡기는 의미가 있고 이것이 마지막 유언이 되기 위함이다.

 

* 유대인에게 쉐마는 태어날 때뿐 아니라 죽을 때도 읽고 암송하는 내용이다.

 

* 유대인 중에 세계적인 인물이 많이 배출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부모가 침대 머리 이야기를 어릴 때부터 들려주었기 때문이다. 유대인에게 침대 머리 책 읽기는 부모의 의무다.

 

* 유대인은 돌이 갓 지나는 시기부터 책을 읽어 준다.  

 

* 유대인 어린이가 글자를 배우면서 가장 먼저 읽는 책이 레위기다.

 

▶ 기도 '테필라' '재판하다'는 뜻이다.  

 

* 기도는 하나님과 나누는 대화다.

 

* 유대인은 사람과의 대화 이전에 하나님과의 대화하는 법을 가르친다.

 

* 힘들 때 기도하면서 하늘로부터 힘을 얻는 법을 배운다.

 

* 기도를 통해 유대인은 인간의 연약함을 알게 하고 겸손함을 배우게 한다.

 

* 유대인 성지인 통곡의 벽에 가면 7세 된 아이에게 기도에 대해 가르치고 기도를 시킨다.

 

* 아이들에게 기도 책자와 초콜릿을 선물로 나눠준다. 기도는 초콜릿처럼 달콤하다는 것을 가르치기 위함이다.  

 

* 탈무드는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하나님께 기도하지 말라'고 가르친다.

 

* 유대인이 생각하는 기도는 "하트파렐" "스스로를 평가하다. 자기를 달아본다."는 의미다. 오히려 기도를 통해서 자신이 얼마나 하나님의 뜻에 맞게 살았는지 저울에 재는 것과 같다.

 

* 유대인은 하루 3번 기도한다.  저녁기도:마이아리브, 아침 기도: 샤카리트, 오후 기도: 민하

 

* 기도를 모아 만든 책을 "시두르"라고 부른다.

 

* 아이들은 부모가 기도해 주지 않으면 잠자리에 들지 않는다.

 

* 유대인들은 말로 하기보다는 기도문을 읽으면서 기도한다.

 

* 유대인의 집에는 성인식, 결혼식에 선물로 받은 "시두림"이라는 기도 책이 있다.

 

* 유대인의 가장 큰 의무는 토라를 읽고 공부하는 것이다. 

 

* 아이가 말을 시작할 때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토라 미츠바라누 모세" (모세가 우리에게 토라를 주었다.)라고 말한다.

 

* 유대인의 가정은 가부장적인 제도를 가지고 있다. 남편의 가정의 지배자다.

어머니의 중요한 역할은 토라를 읽어 주는 일이다.

아버지는 주로 역사와 전통, 토라와 탈무드를 가르친다.

 

* 유대인 부모는 13살까지 자녀교육을 책임진다.

 

* 유대인 여성들은 임신 사실을 알게 되면 긴 옷감 포대기를 준비하고 이 포대기에 토라의 성경구절로 수를 놓는다.

 

열 달이 지나는 동안 긴 옷감이 성경구절로 빽빽하게 채워진다. 아이가 태어나면 포대기로 아기를 덮는데 아기는 눈을 뜨면서 포대기를 통해 종일 성경구절에 눈을 맞춘다. 그리고 엄마는 포대기의 기록된 토라의 말씀을 가르친다.

 

* 유대인 아이가 가장 먼저 듣는 것은 성경 구절이다. 귀가 뚫리고 처음 듣는 단어가 '여호와'라는 단어다.  

 

 

▶ 토라

 

* 유대인은 책의 민족이다. 유대인에게 책은 토라를 의미한다. 

 

* 유대인은 토라를 배우는 사람이다. 

 

* 토라를 배우는 좋은 시기는 아이가 글을 읽기 시작하는 5살 때라고 말한다.

그래서 아이들은 5살이 되어 글을 읽히게 되면 가장 먼저 읽는 책이 토라다.

 

* 토라는 모든 교육의 시작이 된다. 

교육은 13세의 성인식(미츠바)까지 계속된다.   

 

* 유대인 천재 과학자 아인 슈타인도 12세까지 철저하게 토라 교육을 받았다.

 

* 유대인은 토라를 통해서 하나님과의 만남을 지속적으로 갖는다.

 

* 유대인은 1년을 주기로 해서 정해진 부분을 매주 조금씩 토라를 읽는다.

 

* 초등학교에서는 제도적으로 오전에는 토라와 탈무드를 오후에는 일반 과목을 공부한다. 

 

* 토라는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사랑의 편지와 같다.

 

* 토라는 613개의 계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라" 248조항, "~하지 말라" 365조항. 1년 365일은 "하라"는 것이고 "하지 마라"는 인간의 뼈마디를 의미하는 248개를 말한다.

 

 

▶ 명절

 

* 유대인은 가정이나 학교에서 명절을 중시한다.

명절은 그 나라의 전통과 역사가 스며 있다.

유대인은 구약성경에 나오는 명절을 기본적으로 따라 지킨다. 그리고 자신들의 역사와 관계있는 절기와 기념일을 축제로 지킨다.

유대인의 축제는 대부분 민족 수난과 관련이 있다. 고난을 승화시키는 의미에서 절기와 축제를 지킨다.

 

* 유대인은 명절을 지키면서 자녀교육의 기회로 삼는다.

 

* 유대인은 2달에 한 번 정도는 큰 절기와 축제를 지낸다. 



▶ 테필린 - 말씀 상자, 기도 상자.

 

* 4개의 성경구절이 들어있다.

 

* 테필린을 머리와 손에 부착하는 것은 하나님과 더불어 산다는 민족의식이 들어 있다.

 

* 테필린을 손목에 붙이는 것은 행동의 기준으로 삼으라는 것이고 이마에 붙이는 것은 생각의 기준으로 삼으라는 뜻이다.

 

* 유대인 부모는 자녀가 말을 배우기 시작하면 제일 먼저 테필린 속에 들어 있는 말씀을 암송하게 한다.

 

출 13장

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이르시되
2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사람이나 짐승을 막론하고 태에서 처음 난 모든 것은 다 거룩히 구별하여 내게 돌리라 이는 내 것이니라 하시니라
3    모세가 백성에게 이르되 너희는 애급 곧 종 되었던 집에서 나온 그날을 기념하여 유교병을 먹지 말라 여호와께서 그 손의 권능으로 너희를 그곳에서 인도해 내셨음이니라
4    아빕월 이 날에 너희가 나왔으니
5    여호와께서 너를 인도하여 가나안 사람과 사람과 아모리 사람과 히위 사람과 여부스 사람의 땅 곧 네게 주시려고 네 조상들에게 맹세하신 바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 이르게 하시거든 너는 이 달에 이 예식을 지켜
6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고 일곱째 날에는 여호와께 절기를 지키라
7    이레 동안에는 무교병을 먹고 유교병을 네게 보이지 아니하게 하며 네 땅에서 누룩을 네게 보이지 아니하게 하라
8    너는 그날에 네 아들에게 보여 이르기를 이 예식은 내가 애굽에서 나올 때에 여호와께서 나를 위하여 행하신 일로 말미암음이라 하고
9    이것으로 네 손의 기호와 네 미간의 표를 삼고 여호와의 율법이 네 입에 있게 하라 이는 여호와께서 강하신 손으로 너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셨음이니
10    해마다 절기가 되면 이 규례를 지킬지니라

 

출 13 장

11    여호와께서 너와 네 조상에게 맹세하신 대로 너를 가나안 사람의 땅에 인도하시고 그 땅을 네게 주시거든
12    너는 태에서 처음 난 모든 것과 네게 있는 가축의 태에서 처음 난 것을 다 구별하여 여호와께 돌리라 수컷은 여호와의 것이니라
13    나귀의 첫 새끼는 다 어린양으로 대속할 것이요 그렇게 하지 아니하려면 그 목을 꺾을 것이며 네 아들 중 처음 난 모든 자는 대속할지니라
14    후일에 네 아들이 네게 묻기를 이것이 어찌 됨이냐 하거든 너는 그에게 이르기를 여호와께서 그 손의 권능으로 우리를 애굽에서 곧 종이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내실새
15    그때에 바로가 완악하여 우리를 보내지 아니하매 여호와께서 애급 나라 가운데 처음 난 모든 것은 사람의 장자로부터 가축의 처음 난 것까지 다 죽이셨으므로 태에서 처음 난 모든 수컷들은 내가 여호와께 제사를 드려서 내 아들 중에 모든 처음 난 자를 다 대속하리니
16    이것이 네 손의 기호와 네 미간의 표가 되리라 이는 여호와께서 그 손의 권능으로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셨음이니라 할지니라

 

▶ 신 6장

4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
5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6    오늘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7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집에 앉았을 때에든지 길을 갈 때에든지 누워 있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할 것이며
8    너는 또 그것을 네 손목에 매어 기호를 삼으며 네 미간에 붙여 표로 삼고
9    또 네 집 문설주와 바깥문에 기록할지니라

 

 

신 11장

13    내가 오늘 너희에게 명하는 내 명령을 너희가 만일 청종하고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여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섬기면

14    *여호와께서 너희의 땅에 이른 비, 늦은 비를 적당한 때에 내리시리니 너희가 곡식과 포도주와 기름을 얻을 것이요

*히, 내가


15    또 가축을 위하여 들에 풀이 나게 하시리니 네가 먹고 배부를 것이라
16    너희는 스스로 삼가라 두렵건대 마음에 미혹하여 돌이켜 다른 신들을 섬기며 그것에게 절하므로
17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진노하사 하늘을 닫아 비를 내리지 아니하여 땅이 소산을 내지 않게 하시므로 너희가 여호와께서 주신 아름다운 땅에서 속히 멸망할까 하노라
18    이러므로 너희는 나의 이 말을 너희의 마음과 뜻에 두고 또 그것을 너희의 손목에 매어 기호를 삼고 너희 미간에 붙여 표를 삼으며
19    또 그것을 너희의 자녀에게 가르치며 집에 앉아 있을 때에든지, 길을 갈 때에든지, 누워 있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하고
20    또 네 집 문설주와 바깥문에 기록하라
21    그리하면 여호와께서 너희 조상들에게 주리라고 맹세하신 땅에서 너희의 날과 너희의 자녀의 날이 많아서 하늘이 땅을 덮는 날과 같으리라

 

 

▶ 메주자 - 문설주.  

 

* 유대인의 집에 들어가면 입구 현관과 방문에 메주자가 붙어 있다.

 

* 메주자 속에는 쉐마 기도 내용을 양피지에 잉크로 적은 것을 넣는다.

 

* 문설주의 들어가는 방향에서 오른쪽 문기둥 3분의 2가 되는 윗부분에 붙인다.

 

* 메주자를 붙인 문비방에 들어가는 것은 성전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 유대인은 방문을 들어가고 나갈 때마다 이 메주자에 손을 댄 후에 그 손을 입에 대고 입맞춤을 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꿀보다 더 달다'는 것을 의미한다.   

 

 

▶ 유대인은 전통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탈무드 "전통의 의미를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손을 잡혀 길 안내를 받고 있는 장님과 같다"고 말한다.  

 

* 유대인의 축제는 기본적으로 3가지 기본이 있다.

1) 성경의 지침을 따라 매주 안식일을 지키고 7년마다 안식년을 지키고 50년마다 희년을 지키도록 가르치고 있다. 

 

2) 3대 절기 - 유월절(출애급 기념), 칠칠절, 초막절(40년 광야 시절, 초막을 집 안마당에 짓고 1주일간 생활, 이때는 아무리 부자라 해도 나무로 얼기설기 가족이 만든 초라한 움막에서 1주일간 생활한다.) 

 

민족적으로 지키는 대속죄일(옴키파), 하누카(성전을 되찾은 해방의 날로 기적이 일어난 것을 기념하며 집집마다 촛불을 8일간 밝히고 부침개 비슷한 음식을 먹는다),  퓨림절 Purim (에스더 이야기의 촌극으로 하면서 온 가족이 축제를 즐긴다) 등이 있다. 

 

 

▶ 시나고그 - 회당.  

 

* 회당은 유대교 공동체의 센터다.

 

* 가족 10명이 되면 회당을 세울 수 있다. 유대인은 성전이 없어지면서 성전을 대신할 장소로 회당을 지었다. 회당은 예배처소로 바벨론 포로기에 생겼다.

 

* 미국에는 4000개의 유대인 회당이 있다.

 

* 토요일인 안식일에는 예배드리는 곳으로 사용하고 일요일에는 탈무드를 교육하는 장소로 사용하고 있었다.

 

* 그들은 이사할 때 회당까지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있는가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정도로 회당 중심이다.

 

* 회당의 중요한 기능은 매일 기도하는 장소다. 유대인들은 회당에 와서 기도의 예전을 행한다.

 

* 유대인들은 매일 규칙적으로 기도를 해야 만족한다. 또 하나 중요한 기능은 연구의 집이다. 유대인의 교육은 성인식이 끝나면서 본격적으로 성경 연구로 일생을 보낸다. 회당은 이런 공부를 위한 도서관과 같은 역할을 한다.  

 

 

'구약·유대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인의 탈무드  (0) 2016.03.10
유대인의 자녀교육  (0) 2016.03.08
유대인의 고난교육  (0) 2016.03.07
유대인의 만물 주관교육  (0) 2016.03.07
유대인의 안식일과 가정  (0) 2016.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