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일어

한글 맞춤범 - 1988년 문교부 고시 제88-1호 제5장 띄어쓰기.

true2020 2020. 7. 20. 10:35

▶ 제1절 조사

 

제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마저밖에에서부터으로만이나마이다입니다. 꽃처럼

어디까지나 거기 멀리 웃고

 

▶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42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수 있다 먹을 만큼 먹어라

아는 이를 만났다

네가 뜻한 바를 알겠다

그가 떠난 지가 오래다.

 

제43항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한 개, 차 한 대, 금 서 돈, 소 한 마리, 연필 한 자루, 옷 한 벌, 열 살, 조기 한 손, 버선 한 죽, 집 한 채, 신 두 켤레, 북어 한 쾌.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두시 삼십분 오초

제일과

삼학년

육층

1446년 10월 9일

2대대

16동 502호

제1어학실습실

80원

10개

7미터

 

제44항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

12억 3456만 7898

 

제45항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쓴다

국장 겸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대 백군

책상 걸상 등이 있다. 사과 배 귤 등등. 사과 배 등속. 부산 광주 등지.

이사장 및 이사들

 

제46항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그때 그곳

좀더 큰것

이말 저말

한잎 두잎

 

▶ 제3절 보조 용언,

 

제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 가다 : 불이 꺼져 간다. 불이 꺼져간다.  

* 내다 : 내 힘으로 막아 내다.  막아내다.

* 드리다 : 어머니를 도와 드린다. 도와드린다.

* 버리다 : 그릇을 깨뜨려 버렸다. 깨뜨려버렸다.

* 듯하다 : 비가 올 듯하다. 올듯하다.

* 할 만하다 : 그 일은 할 만하다. 할만하다.

* 될 법하다 : 그 일은 될 법하다. 될법하다.

* 성 싶다 : 비가 올 성 싶다. 올성싶다.

* ㄴ 척하다 : 잘 아는 척 한다. 아는척한다.

* 나가다 : 공부해 나가다. 해나가다.

: 뻗어 나가다. 뻗어나가다.

 

다만, 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앞말이 합성 동사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 잘도 놀아 나는구나.

* 책을 읽어 보고.

* 네가 덤벼들어 보아라.

* 강물에 떠내려가 버렸다.

* 그가 올 듯도 하다.

* 잘난 체를 한다.  

 

▶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제48항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홍길동. 홍길동 씨. 홍길동 선생. 홍길동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남궁억 / 남궁 억. 독고준 / 독고 준. 황보지붕 / 황보 지붕.

 

제49항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

 

대한 중학교 / 대한중학교

한국 대학교 사범 대학 / 한국대학교 사범대학

 

제50항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 / 만성공수성백혈병

증거리 탄도 유도탄 / 중거리탄도유도탄

 

▶ 제6장 그 밖의 것.

 

제51항 부사의 끝 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 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1) "이"로만 나는 것.

가붓이 깨끗이 나붓이 느긋이 둥긋이 따뜻이 반듯이 버젓이 산뜻이 의젓이 가까이 고이 날카로이 대수로이 번거로이 많이 적이 헛되이 겹겹이 번번이 일일이 집집이 틈틈이

 

2) "히"로만 나는 것.

극히 급히 딱히 속히 작히 족히 특히 엄격히 정확히

 

3) "이" "히"로 나는 것.

솔직히 가만히 간편히 나른히 무단히 각별히 소홀히 쓸쓸히 정결히 과감히 꼼꼼히 심히 열심히 급급히 답답히 섭섭히 공평희 능히 당당히 분명히 상당히 조용히 간소히 고요히 도저히  

 

제52항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

 

제53항 다음과 같은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는다.

- ㄹ거나

- ㄹ걸

- ㄹ게

- ㄹ세

- ㄹ세라

- ㄹ수록

- ㄹ시

- ㄹ지

- ㄹ지니라

- ㄹ지라도

- ㄹ지언정

- ㄹ진대

- ㄹ진저

- 올시다

 

다만 의문을 나타내는 다음 어미들은 된소리로 적는다.

- ㄹ까?  -ㄹ꼬? -(스) ㅂ니까? -(으)리까? -ㄹ쏘냐?   

 

제54항 다음과 같은 접미사는 된소리로 적는다.

심부름꾼 익살꾼 일꾼 장꾼 장난꾼 지게꾼 때깔 빛깔 성깔 귀때기 볼때기 판자때기 뒤꿈치 팔꿈치 이마빼기 코빼기 객쩍다 겸연쩍다

 

제55항 두 가지로 구별하여 적던 다음 말들은 한 가지로 적는다

맞추다(O) / 마추다 (X) 입을 맞춘다. 양복을 맞춘다.

뻗치다(O) / 뻐치다 (X) 다리를 뻗친다. 멀리 뻗친다.

 

제56항 "더라" "던" "든지"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1) 지난 일을 나타내는 어미는 "더라" "던"으로 적는다.

 

지난 겨울은 몹시 춥더라. / 춥드라(X)

깊던 물이 얕아졌다. / 깊든 물이 (X)

그렇게 좋던가? / 좋든가?(X)

 

그 사람 말 잘하던데! / 잘하든데(X)

얼마나 놀랐던지 몰라 / 놀랐든지 (X)

 

2) 물건이나 일의 내용을 가리지 아니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와 어미는 "든지"로 적는다.

 

배든지 사과든지 마음대로 먹어라

가든지 오든지 마음대로 해라.

 

제52할 다음 말들은 각각 구별하여 적는다.

 

가름 / 갈름

거름 / 걸음

가치다 / 걷히다

걷잡다 / 겉잡다

그러므로(그러니까) / 그럼으로 (그렇게 하는 것으로)

노름 / 놀음

느리다 / 늘이다 / 늘리다

다리다 / 달이다

다치다 / 닫히다 / 닫치다

마치다 / 맞히다

목거리 / 목걸이

바치다 / 받치다

반드시 / 반듯이

부딪치다 / 부딪히다

붙치다 / 붙이다

시키다 / 식히다

아름 / 알음/ 앎

안치다 / 앉히다

어름 / 어름

이따가 / 있다가

저리다 / 절이다

조리다 / 졸이다

주리다 / 줄이다

하노라고 / 하느라고

-느니보다 / -는 이보다

-(으)리만큼(어미) / -ㄹ이만큼(의존 명사)

-러 / -려

- 로서 / -로써

- 므로 (어미) / 으로(써) (조사) 

 

 

 

▶ ㄱ

거지 노릇

관계되다.

거지새끼

꿈같다.

그만두다.

가만있다.

거쳐가다.

장가가다. * 시집가다.

거쳐가다.

가려내다. * 가려 가다.

골라잡다.

가짓수: 종류의 수효.

귀기울이다.

 

 

 

내버려두다.

 

딴짓하다

뛰쳐나오다.

뒤집어쓰다.

때려부수다.

따먹다.

다시 한번. 또 한 번.

타고앉다.

두어두다.

 

▶ ㄹ

마음속, 머릿속

뭘하다

하다 : 반의어 "잘" / 못하다 <-> 잘하다.

마음놓다.

맞아떨어지다.

밀어붙이다

머지않다.

매 순간.

 

뿌리박다.

불러일으키다.

벌받다.

밝혀내다.

바라나오다.

 

살아오다.

살아남다.

손해나다.

쓸 만하다.

손윗사람. 손아랫사람. 손아래뻘.

 

 

 

아무때

입다물다.

알고 보니

얽어매다.

수천수만

우리 집(O) 우리집(X)

얽어매다.

일남 일녀.

이러고저러고. 이러하고 저러하거의 준말.

안절부절못하다.

 

저당잡히다.

제사지내다.

죽자 살자 하다. 죽자 사자 하다.

죄짓다.

집어넣다.

주고받다.

지내보다.

장난삼다.

제일가다.

죽을죄.

 

큰소리치다.

 

 

 

팔아먹다

품안

풀려나다.

퍼주다.

 

 

하루하루

흘러나오다

흘러넘치다.

하다 보면

한자리하다

하고많다. -> 많고 많다.

한다하는

흉내 내다.

해내다.

'한·영·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干 - 十干  (0) 2020.07.29
Tirol 티롤 チロル  (0) 2020.07.29
Dash 대시  (0) 2020.07.17
- 씨.  (0) 2020.07.17
되다와 돼다.  (0) 2020.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