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남 감옥 - 정신력의 중요성.
1. 인간은 빵에 의해서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 어차피 이 밥으로는 죽어 버린다.
- 이 밥의 반으로 살아가기로 決心하기까지는 반 달이 걸렸다.
▣ 1970.10.13(화) 하나님과 함께 걸어온 길. 중앙수련원.
- 참아버님의 간증.
035-185 선생님은 북한 공산당의 감옥에 들어가서 2년 8개월 동안 중노동을 했다. 무슨 노동이었냐면 비료공장의 일이었다.
유산 암모니아 공장에서 가루가 컨베이어에 실려 공장 한가운데 떨어지게 되어 있다. 그것을 저울에 달아 자루에 가득 넣어 화차에 싣는 일이다.
열처리를 해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떨어지는 유산 암모니아는 뜨겁다. 그것이 식으면 덩어리가 된다. 그것을 몇 년 동안 놓아두면 바위처럼 되어 버린다.
참으로 힘든 중노동이었다. 하루 8시간의 노동 시간에 한 사람 한 사람의 책임분담이 있다.
열 사람이 한 조가 되어 일을 한다. 한 조의 하루 책임량은 천삼백 가마니로서 8시간 이내에 끝내지 않으면 식량이 반으로 줄어들게 되어 있었다.
하루에 주는 밥은 작은 공기로 1.7공기 가량이다. 반찬은 아무것도 없고 국은 된장국이 아닌 소금물이다. 그것을 먹고 8시간 노동을 하는 것이다.
중노동을 시켜서 죽게 하는 것이 공산주의 작전이다. 여기에 들어와서 3년이 지나면 모두 죽어 나간다. 반드시 틀림없이 그렇게 된다. 3년 이내에.
먹을 것을 주지 않고 중노동을 시키기 때문에 이 공장에 들어오는 사람은 우선 죽어 둔 것이나 다름없다.
이 세상 보통 사람의 기준으로는 하루에 세 끼 기름기를 먹고 최고로 하여도 하루 700가마니밖에 할 수 없다. 그러나 이 공장은 그 배에 가까운 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먹을 것은 적어서 큰 입으로 세 입이면 끝나 버린다. 그러고서 중노동을 하는 것이니까 조반 먹고 공장으로 향하는 그 길에서 벌써 다리가 몇 번이나 휘청거리는 것이다. 그러한 다리를 끌고 가서 아침부터 일을 한다. 그것은 정말 비참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035-186 선생님은 공산당의 정책을 상당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거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했다.
선생님은 주는 밥의 반절만 먹고 살아가기로 결심을 했다. 인간은 빵에 의해서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어차피 이 밥으로는 죽어 버린다. 그러니까 이 밥의 반으로 살아가기로 決心하기까지는 반 달이 걸렸다. 자기가 반절 먹고 남은 半은 나누어주었다.
얼마나 자기가 精神的으로 幸福한가, 날마다 얼마나 感動의 量을 크게 하는가가 문제였다. 精神的 慰安은 실로 큰 것이다.
생활은 과학적이다. 노동하는 가운데서도 노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식치 않는다. 노동 시간이 기도의 시간이었다. 언제나 세계적인 여러 가지 일을 상상하는 것이다.
아침 8시에 감옥을 출발하여 10시에 공장에 도착한다. 10분간 화장실에 갈 시간이 주어진다. 벌써 죽고 싶은 만큼 피로해진다.
위가 녹아 버릴 정도의 쓰라림을 느낀다. 그래도 그 일을 전혀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것을 생각하기 시작하면 다만 휴식 시간만을 머리에 그리게 된다.
정미 40 킬로그램을 넣어서 그것을 들어 올리는 것이 가장 고통스러웠다. 모두 싫어한다. 선생님은 모두가 싫어하는 이 어려운 일을 도맡아 했다.
이 어려운 일을 계속하면 죽는다. 그래서 가장 힘든 이 일을 해낼 수 있는 체력을 만드는 것 외에는 살아 낼 길이 없다. 여러분도 가장 어려운 일을 맡아하라. 그렇게 前進的으로 생각하라.
2. 선생님의 몫의 식사는 절반이고 다른 절반은 하나님에 의해서 주어진 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1971.12.23(화) 통일교회사 2. 워싱턴, D.C.
052-167 선생님이 그러한 환경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겠어요? 사람은 육신만이 아닙니다. 만일 죄수들이 음식만을 먹고살게 되어 있었다면 그들은 죽었을 것입니다. 선생님은 그것을 알았습니다. 선생님은 결심했습니다. 선생님은 정신력의 중요성을 알았습니다.
여러분이 영적으로 어떤 것을 먹는 경험을 하게 될 때 여러분은 배고프지 않습니다. 선생님은 정신적으로 특별한 결심을 했습니다. 그래서 선생님은 선생님이 먹는 음식의 절반만으로 살 수 있다고 마음에 확신을 가졌습니다. 그래서 그 후 선생님은 그 생각에 익숙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다음 날부터 선생님은 다른 사람들에게 선생님의 음식의 절반을 주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을 3주 동안 계속했습니다. 선생님은 절반의 음식을 먹고도 선생님의 작업량을 완수할 수 있다고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열 사람이 한 조이기 때문에 그들은 일을 나누어서 합니다. 거기에는 더 쉬운 일과 더 어려운 일이 있습니다. 선생님은 가장 어려운 일을 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가장 힘든 일을 할지라도 선생님은 죽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3년 후 또는 10년 후에라도···.
3주 후에 선생님은 그것에 익숙하게 되었고 아주 자신만만해졌습니다. 그때부터 선생님은 선생님 몫의 식사를 모두 먹기 시작했습니다. 그때부터 선생님은 선생님의 몫의 식사는 절반이고 다른 절반은 하나님에 의해서 주어진 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선생님은 정신적인 위안을 가질 수 있었고 그 위안이 매우 큰 것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선생님은 다른 사람의 두 배 정도까지 일을 하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그래서 선생님은 일을 할 때마다 선생님이 항상 시험을 받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선생님은 선생님이 더 열심히 일을 할 때 선생님의 육신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분석하고 연구했습니다. 때때로 선생님이 속도를 높일 때 선생님의 몸이 변했습니다. 만일 선생님이 보통으로 일했으면 선생님의 몸이 어떻게 반응했겠어요?
열 사람 중에는 몇몇 약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때때로 선생님은 자기의 할당량을 완수할 수 없는 사람들의 일을 보충하기 위해서 선생님의 할당량 이상의 일을 해야 했습니다. 선생님은 그런 일을 계속했습니다.
작업하는 동안에 밥 생각을 한다면 일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선생님은 일할 때 밥을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선생님은 항상 그것을 하도록 운명으로 정해졌다고 생각했습니다. 선생님은 그러한 일을 하려고 태어났다고 생각했습니다. 항상 선생님은 마치 선생님이 복귀 섭리를 하는 것처럼 모든 심정과 모든 성의를 그 일에 쏟았습니다.
052-168 선생님은 작업하는 동안에 항상 선생님이 영계에서 경험했던 것을 생각했고 훗날 선생님과 후손들과 선생님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보여 줄 영화에서의 주인공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선생님을 다라는 사람들과 후손들은 선생님의 일하는 것을 보면서 감동하게 될 것이라는 마음을 가지고 일했습니다.
8시부터 일을 시작했으며 10시에 10분 휴식이 있었습니다. 그 시간에 그들은 변소에 갑니다. 그러나 선생님은 결코 그것을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선생님은 휴식시간이라는 벨이 울려도 못 들었습니다. 선생님의 주위에 아무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될 그때에야 비로소 휴식시간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선생님의 몸은 일하고 있었으나 선생님의 영은 쉬고 있었습니다. 선생님은 그와 같은 정신으로 일했기 때문에 선생님의 체중은 거의 유지되었습니다.
3. 먹는 것에 욕심을 내다가는 죽는 거예요.
- 딱 소정의 작정한 그 규율권 내에서 자기가 지탱할, 자기가 살 길을 개척해 나가야 되는 거예요.
▣ 1964.6.12(금) 정신력과 훈련. 대구교회.
- 손영출 씨 간증 후 말씀.
154-145 작정한 잠 또 작정한 음식 외에는 탐내지 않았어요. 또 먹는 것이 문제이기 때문에 이 먹는 것에 욕심을 내다가는 죽는 거예요. 그저 죽는 거예요. 보급할 길이 끊어지고 어디서 보충할 길이 없어 영양이 부족되는 입장에서 전부 다 이것을 보충받기를 바라는 그런 입장에 서면 그건 죽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이 음식 가지고도 넉넉히 산다, 이 음식 절반 가지고도 산다, 선생님은 그러한 각오로···. 그래서 한 보름 내지 20일 동안 그 절반의 밥을 전부 다 남에게 나눠 줘 먹였어요. 자신 있다 이거예요.
이런 훈련을 딱 하고 그다음부터는 뭐 차입 같은 걸 들여 주더라도 그걸 먹지 않는다 말이에요. 미숫가루 같은 걸 들여 주게 되면 그거 궁하고 굶주렸으니 얼마나 먹고 싶겠나요? 그러나 그것을 탐해서는 안 된단 말이에요.
* 그걸 바라볼 필요 없어요. 바라볼 필요 없다구요. 그랬다가는 죽는 거예요. 죽는 거라구요. 그렇기 때문에 그런 걸 먹지 않고 딱 소정의 작정한 그 규율권 내에서 자기가 지탱할, 자기가 살 길을 개척해 나가야 되는 거예요.